먼저 API 활용을 위해 http://data.seoul.go.kr/dataList/OA-13122/S/1/datasetView.do 접속하여 API 키를 받아야 한다. 키를 받은 뒤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에서 제공하는 공영주차장 api의 리스트를 먼저 확인해보자. 모든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여 vo파일을 작성해보았다. package vo; public class ParkingVO { private int parkingCount, parkingBaseCharge, parkingBaseTime, parkingPlusCharge, parkingPlusTime; private String parkingIdx, parkingName, parkingAddr, parkingTel, park..
인증키 받는 곳 : https://www.ncloud.com/product 먼저 Api 연동을 설명하기 전에 Naver Map api를 사용하기 위해서 위의 주소에서 로그인을 한 뒤 이용신청을 하고, 인증키를 받아와야 한다. 설명에 나와있는 대로 차근차근 인증키를 발급받으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우리가 실질적으로 Spring에서 api를 호출할 대 Client ID가 필요하다. 또한 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도메인을 따로 등록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URL을 위의 사진처럼 지정해주었다. 코드에 대한 설명은 주석으로 작성해두었기 때문에 생략하고, 이번 프로젝트에서 네이버 지도를 연동하여 해당 위치를 보여주고, 클릭하여 상세정보를 보여주는 작업을 했기 때문에 여러 개의 마커가 필요했고, 여러 개..
1) 어노테이션(Annotation)이란? Annotation(@)은 사전적 의미로 주석이라는 뜻이다. 자바에서 어노테이션은 코드 사이에 주석처럼 사용되고 특별한 의미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하는 개발자가 프로그램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주는 메타데이터라고 볼 수 있다. 어노테이션은 JDK 1.5 버전 이상에서 사용 가능하고 자바 소스 코드 사이에 @기호를 앞에 붙여서 사용한다. 2) 어노테이션(Annotation)의 용도 - 컴파일러에게 코드 작성 문법 에러를 체크하도록 정보 제공 - 소프트웨어 개발툴이 빌드나 배치 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 실행(런타임) 시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정보를 제공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순서 1) 어노..
1) 스프링이란? 스프링은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서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pring은 자바 객체를 담고 직접 관리한다. 객체의 생성 및 소멸과 같은 생명주기를 관리하며 언제든 Spring 컨테이너로부터 필요한 객체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다. 2) 스프링의 특징 1) 경량 컨테이너로서 자바 객체를 직접 관리한다. 각각의 객체 생성, 소멸과 같은 생명주기를 관리하며 스프링으로부터 필요한 객체를 얻어올 수 있다. 2) 스프링은 Plain Old Java Object 방식의 프레임워크이다. 일반적인 J2EE 프레임워크에 비해 구현을 위해 특정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상속을 받을 필요가 없어 기존에 존재하는 라이브러리 등을 지원..
1) MyBatis란? 마이 바티스(MyBatis)란 자바의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XML이나 애너테이션(annotation)을 사용하여 저장 프로시저나 SQL문으로 객체들을 연결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마이 바티스에서는 프로그램에 있는 SQL 쿼리들을 한 구성 파일에 구성하여 프로그램 코드와 SQL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마이 바티스를 활용하면 복잡한 JDBC 코드를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XML 형태로 작성된 JDBC 코드라고 말할 정도로 JDBC의 모든 기능을 제공한다. 2) MyBatis 활용 간단하게 위의 이미지처럼 오라클에 저장된 부서테이블의 부서 번호, 부서 이름, 부서위치를 출력해보려 한다. --부서테이블 CREATE TABLE DEPT( DEPTNO NUM..
1) AJAX란?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란 비동기 자바스크립트와 XML을 말한다. 쉽게 설명하면, 서버와 통신을 하기 위해 XMLHttpRequest 객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JSON, XML, HTML, 일반 텍스트 형식을 포함한 다양한 포맷을 주고받을 수 있다. 현재는 JSON을 가장 많이 다룬다고 한다. 비동기(async) 방식이란? - 웹페이지를 새로고침하지 않고 데이터를 불러오는 방식을 뜻한다. 전체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지 않고 필요한 일부의 데이터만을 갱신할 수 있게 해 준다. AJAX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Refresh) 하지 않고서도 수행되는 "비동기성"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회원가입 시 아이..
오늘은 개념을 정리하는게 아니라, 다음에 또 오류가 발생했을 때 해결하기 위해 해결법을 작성해보려한다. 기존 JSP 파일을 실행하려던 중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다. 처음에 'Launching Tomcat v8.5 Server at localhost' has encountered a problem. 부분을 구글링을 해보았더니.. 포트번호가 겹쳐서 그럴 수 있다며 사용하던 포트를 종료시키는 메소드를 cmd를 통해 실행시켜보았다. 결과는 같은 오류화면이 다시 발생하여... 또 다시 삽질시작... 이번에는 이클립스의 Window - Preferences를 클릭하여 Server에서 톰캣을 더블클릭하면 나오는 화면이다. 포트번호가 겹쳐서 그럴수도 있다해서 포트번호를 수정해보았지만... 이번에도 실패... 그런데 ..
#1 JSP란? JSP란 Java Server Pages의 약자로, JAVA를 이용한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언어이다. HTML/CSS를 활용하여 웹을 만들었을 때 JSP를 활용하여 동적인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확장자는 .jsp를 사용한다. #2 스크립트 태그의 종류 1) 스크립트릿(Scriptlet) JSP 문법의 가장 기본이 되는 태그로, 대부분의 JSP 문법 표현을 스크립트릿을 활용한다. 사이에 필요한 자바 코드를 입력하는 형식이다. 모든 텍스트, HTML 태그 또는 JSP 요소는 스크립틀릿 태그 외부에 위치해야 한다. 2) 선언문 (Declaration) 안에 변수, 메소드 등을 선언할 때 이용한다. 선언문 태그에 선언된 변수와 메소드는 JSP 페이지 임의의 위치에서 선안할 수 있고, 스..